질병관리본부 분석…치료 미실시자는 결핵 발생 위험 7배 높아져
여성·저소득·고연령·대도시·산후조리원·교도소 감염률 높아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병원·학교·어린이집 등 집단시설 종사자의 15%는 잠복결핵 상태이지만, 치료를 시작하는 사람은 약 10명 중 3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복결핵 미치료자는 치료를 받는 사람보다 결핵 발생 위험이 7배나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잠복결핵 감염률은 여성, 저소득층, 고연령층, 대도시, 산후조리원·교도소에서 높았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017년 수행한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 사업'의 분석 결과를 7일 발표했다.

결핵은 결핵균이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결핵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 말을 할 때 결핵균이 공기 중으로 퍼진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에 노출돼 감염은 됐으나 실제 결핵으로 발병은 하지 않은 상태다. 다른 사람에게 결핵을 전파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잠복결핵 감염자의 10%는 나중에 결핵 환자가 된다.

질병관리본부가 검진자 85만7천765명을 분석한 결과, 14.8%인 12만6천600명이 잠복결핵 감염자로 판정됐다.

이들 감염자 가운데 치료에 들어간 사람은 31.7%이고, 이들 가운데 치료를 완료한 사람은 76.9%였다. 치료 미완료 사유는 부작용(40.8%), 비협조(23.5%), 연락두절(14.6%) 등이었다.

잠복결핵을 치료하려면 1∼2가지 항결핵제를 3∼9개월간 복용해야 한다. 남성과 고소득자 집단은 치료를 시작하지 않는 비율과 중단하는 비율이 모두 높았다.

우리나라의 잠복결핵 치료시작률 31.7%는 일본 95% 이상, 네덜란드 77% 이상과 비교할 때 훨씬 낮은 편이다.

질병관리본부가 감염자를 평균 1년 2개월 관찰했을 때 치료 미실시자의 결핵 발생 위험률은 치료 완료자 보다 7배 높았다.

잠복결핵 감염률은 남성 11.4%, 여성 16.0%로 여성이 더 높고, 연령별로는 10대 2.1%, 20대 5.4%, 30대 12.4%, 40대 23.0%, 50대 35.7%, 60대 43.2%, 70세 이상 44.4% 등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높았다.

소득 수준별로는 저소득층 19.0%, 중∼저소득층 15.5%, 중∼고소득층 12.7%, 고소득층 11.0%로 소득이 낮을수록 높았고, 지역별로는 서울시 15.6%, 부산시 15.3%로 대도시가 높았다.

집단별 감염률은 산후조리원 근무자 33.5%, 교정시설 재소자 33.4%,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7.5%, 보건소 내소자 22.0%, 교육기관 종사자 18.3%, 의료기관 종사자 17.3%, 학교 밖 청소년 3.2%,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0%였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오송 본부에서 잠복결핵감염 검진 범부처 정책토론회를 개최하고, 검진 및 치료율 향상을 위한 제도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결핵은 잠복결핵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것으로 예방이 가능하다"며 "결핵 발병 세계 1위의 오명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집단시설 소관 부처의 검진, 치료율 향상을 위한 범부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결핵발생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다. 2016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결핵 발생률은 77명, 결핵 사망률은 5.2명이었다.

정부는 '결핵 후진국'이라는 불명예를 씻기 위해 결핵발생률을 2022년에 40명으로 낮춘다는 목표를 정하고, 2차 결핵관리종합계획을 시행 중이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RNX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